05. 경락이론

2. 나허준과 함께 '경혈'에 대해 알아볼까요?
  • 2-3. 오행보사법
  • 1)구성원리
    • 십이경락의 목화토금수 오수혈의 각 혈자리를 통해 허증은 補母(보모), 瀉宮(사궁), 실증은 補宮(보궁), 瀉子(사자)의 원리를
      설정하여 오행의 상생상극 원리를 실제 적용하여 장부음양을 조절하는 침법.
  • 예) 肺虛症: 폐허증(正格:정격)
  • 補母(보모)
    肺(폐)는 金(금)경락으로 자체 五行穴中(오행혈중), 補母(보모)하므로 土生金(토생금)에 해당하여
    자체 金(금)경락의 土(토)인 태연을 보하고, 母(모)경락인 脾: 비(土 : 토)의 土穴(토혈)인 태백을 보하며
  • 瀉宮(사궁)
    五行(오행)의 상극이론에 의해 자체 金(금)}경락의 宮穴(궁혈)인 火穴(화혈)인 어제를 瀉(사)하고,
    相克(상극)하는 宮(궁)경락의 宮穴(궁혈)인 소부를 瀉(사)하면
  • 결국 보모사궁(어미를 보하고, 극하는 관원 즉, 宮:궁 을 사하여) 자체경락 肺(폐)를 보하게 된다.
  • ※ "상생상극"은 2장 음양오행이론에 제시됨.
  • ※ 궁(宮)이란 관리, 관원의 의미로 옛날 민중을 억압하고 다스리던 세력을 의의
  • ※ 모(母)는 어미, 자(子)는 자식을 의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