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상품경영 / 알기 쉬운 녹색경영과 CSR
2. 환경성적표지제도 3)인증제품 환경성적보고서
일반정보
환경선언
제조기업정보
제품설명
물질정보
환경성적
기타정보
 

환경성적은 원료물질 체취, 제조, 및 제품제조단계, 사용단계, 폐기단계 각각에 대해서
자원소모, 지구온난화, 오존층 영향, 산성화, 부영양화 및 광화학적 산화물 생성 등 6개 항목에 대한 성적

 

구분(단위)

원료물질 채취/제조 및
제품제조단계

사용단계

폐기단계
합계
자원소모(kg Sb-eq)
5.85E-04
9.12E-06
2.35E-07
5.95E-04

지구온난화(Kg CO2-eq)

9.79E-02
2.55E-03
2.35E-07
5.95E-04
오존층영향(Kg CFC11-eq)
3.38E-09
2.55E-03
2.35E-07
5.95E-04
산성화(Kg SO2-eq)
3.33E-04
2.55E-03
2.35E-07
5.95E-04
부영양화(Kg PO43--eq)
3.10E-05
2.55E-03
2.35E-07
5.95E-04
광화학적 산화물생성(Kg C2H4-eq)

3.03E-04

2.55E-03
2.35E-07
5.95E-04
자원소모 지구온난화 오존층 영향 산성화 부영양화 광화학 산화물
생성
각 원소의 소모량을 안티모니의 자원소모가능성(ADP*)으로 환산하여 나타냄
자원소모가능성
(ADP : Abiotic Depletion
Potential)[kgSb-eq]
  각 원소의 자원소모 가능성을 말하며, 안티모니(Sb : Antimony)의
  자원소모에 미치는 기여도를 1로 두었을 때 그 밖의 원소가
  자원소모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냄
예) 금(Gold)의 ADP : 89.5
 
금이 1kg 소모되는 것은 안티모니가 1kg 소모되는 것 보다
자원소모에 미치는 영향이 89.5배 많음을 나타냄
 
관련자료다운로드
자원소모 지구온난화 오존층 영향 산성화 부영양화 광화학 산화물
생성
지구온난화물질의 온실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CO2가 온실효과에 미치는 영향으로 환산하여 나타냄
지구온난화 가능성
(GWP: Global Warming Potential)
  온실기체가 온실효과에 미치는 기여도를 말하며 이산화탄소가 온실효과에
  미치는 기여도를 1로 두었을 때 그 밖의 온실가스가 온실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냄
예) 메탄의 지구온난화 가능성: 21
 
메탄 1kg이 배출되는 것은 CO2가 21kg 배출되는 것과
온실효과에 미치는 영향이 같음
 
관련자료다운로드
자원소모 지구온난화 오존층 영향 산성화 부영양화 광화학 산화물
생성
각 물질이 배출됨으로써 오존층에 미치는 영향을 CFC-11이 오존층에 미치는 영향으로 환산하여 나타냄
오존층소모 가능성
(ODP : Ozone Depletion Potential)
[kg CFC 11-eq]
  각 물질이 오존층에 미치는 영향을 말하며, CFC-11이 오존층에 미치는
  1영향을 1로 두었을 때 그 밖의 물질이 오존층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냄
예) tetrachloromethane(CCl4)의 ODP: 1.2
 
CCl4가 1kg 배출되는 것은 CFC-11이 1kg 배출되는 것 보다
오존층 파괴에 1.2배 크게 영향을 미침
 
관련자료다운로드
자원소모 지구온난화 오존층 영향 산성화 부영양화 광화학 산화물
생성
이산화황(SO2)가 환경을 산성화 하는 정도를 1로 두었을 때 그 밖에 물질이 환경을 산성화하는 정도를 나타냄
산성화 가능성
(AP: Acidification Potential)
[kg SO2-eq]
  이산화황(SO2)가 환경을 산성화 하는 정도를 1로 두었을때
  그 밖의 물질이 환경을 산성화하는 정도를 나타냄
예) 산화질소(NOX)의 AP: 0.7
 
산화질소가 1kg 배출되면 이산화황이 1kg 배출되는 것의
70% 정도의 산화 가능성이 있음
 
관련자료다운로드
자원소모 지구온난화 오존층 영향 산성화 부영양화 광화학 산화물
생성
화학비료 또는 오수의 유입 등으로 영양분이 과잉 공급되어 식물의 급속한 성장 또는 소멸을 유발하고,
물속의 산소를 빼앗아서 생물이 서식하지 못하게 하는 현상을 말하며, 각 물질의 배출이 부영양화에 미치는 영향을
인산이온이 부영양화에 미치는 영향으로 환산하여 나타냄
부영양화가능성
(EP: Eutrophication Potential)
[kg PO43--eq]
  각 물질의 부영양화에 미치는 영향을 말하며, 인산이온(PO43-)이
  부영양화에 미치는 영향을 1로 두었을 때 그 밖의 물질이 부영양화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냄
예) 암모니아(NH3)의 EP: 0.35
 
암모니아 1kg이 부영양화에 미치는 영향은 인산이온 1kg의
35%정도임을 나타냄
 
관련자료다운로드
자원소모 지구온난화 오존층 영향 산성화 부영양화 광화학 산화물
생성
각 물질의 광화학 산화물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에틸렌의 광화학 산화물 생성 가능성으로 환산하여 나타냄
광화학적 산화물 생성 가능성
(POCP: Photochemical
Ozone Creation Potential)
[kgC2 H4-eq]
  각 물질이 광화학적 산화물을 생성하는 가능성을 말하며, 에틸렌(C2H4)의
  광화학적 산화물 생성 가능성을 1로 두었을 때
  그 밖의 물질이 광화학적 산화물을 생성에의 기여도를 나타냄
예) 이산화질소(NO2)의 POCP: 0.028
이산화질소 1kg이 광화학 산화물을 생성하는 량은 에틸렌 1kg이 생산하는 량의 2.8% 정도임을 나타냄
 
예) 일산화질소(NO)의 POCP: -0.427
POCP의 부호가 음수(-)를 나타냄은 일산화질소가 광화학 산화물을 소모함을 의미함
이는 대기 중에서 일산화질소가 광화학산화물인 산소원자와 결합하여 이산화질소로 되려는 성질이 있기 때문임
POCP가 -0.427인 것으로 보아 일산화질소 1kg은 에틸렌 1kg이 생성하는 광화학 산화물의 42.7% 정도를 소모함을
나타냄
관련자료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