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기술과Green IT / 알기 쉬운 녹색경영과 CSR
2. 녹색기술산업 1)신재생에너지
태양열발전과 다소 혼동하셨던 분들이 있으셨을겁니다. 오늘 학습을 통해 충분히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태양광발전은 태양전지를 이용한 발전방식을 말합니다. 태양전지는 햇빛의 흡수로 전자가 생성되는 광전효과에 의해 전기를 발생하면서 태양빛이 곧바로 전기에너지로 바뀜니다. 재료에 따라 결정질 실리콘, 비정질실리콘, 화합물반도체 등으로 분류합니다. 태양열 발전과 달리 강렬한 태양이 없어도 전기를 만들 수 있는 것이 특징이며 에너지원이 청정하고 무제한적이라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무인화가 가능하죠. 설비의 수명 또한 깁니다 단점으로는 태양전지의 원료로 사용되는 폴리 실리콘 등의 가격이 높다고 초기투자비와 발전단가가 높다는 점이 아쉽습니다. 또 한가지는 에너지밀도가 낮아 넓은 설치면적이 필요하며 전력 생산량이 지역별 일사량에 의존하게 됩니다.
2050년 기준 지구에서 필요한 전력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지상에서는 한반도 면적의 10배 이상 되는 면적의 태양전지판이 있어야 합니다 그러나, 지구 대기를 통과하지 않는 우주에서는 태양빛이 지구보다 훨씬 강하므로 한반도 면적의 1.5배 정도의 태양전지판으로 2050년 지구 전체의 전력수요를 충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 미국에서는 우주 태양발전소의 건설에 대해 제안되기도 하였죠. 우주태양발전소 즉, 우주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소는, 위성에 태양 전지판이 설치된 형태가 됩니다. 태양전지판에서는 태양광을 받아 전기를 생산하며 여기서 발생한 전기를 지구로 전송하죠. 전기에너지는 파장이 짧은 마이크로파 (microwave)나 빛의 일종인 레이저로 바꾸어 지구에 전송하고, 지구의 안테나는 다시 전기로 전환시킵니다. 이때, 위성 태양전지판은 지구와 같은 속도로 돌아 늘 같은 위치에 있어야 지상 안테나가 태양광을 전송받을 수 있으므로, 지구상공 36,000 km의 정지궤도에 띄워집니다.
지구 정지궤도 대신 달 표면에 태양광 발전소를 짓자는 제안